주식 시세 일일 브리핑 2021. 01. 25(월)
- 목차 -
1. 주요 시세 - 이슈 점검
1) 주요 이슈
● 뉴욕증시, 1/22(현지시간) 엇갈린 기업 실적·경제 지표 등에 혼조 마감… 다우 -179.03(-0.57%) 30,996.98, 나스닥 +12.14(+0.09%) 13,543.06, S&P500 3,841.47(-0.30%), 필라델피아반도체 3,074.40(-1.84%)
● 국제유가($,배럴), 美 원유재고 증가 및 中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등에 하락… WTI -0.86(-1.62%) 52.27, 브렌트유 -0.69(-1.23%) 55.41
● 국제금($,온스), 달러 강세 등에 하락... Gold -9.70(-0.52%) 1,856.20
● 달러 index,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등에 상승... +0.10(+0.12%) 90.23
● 역외환율(원/달러), +2.69(+0.24%) 1,105.54
● 유럽증시, 영국(-0.30%), 독일(-0.24%), 프랑스(-0.56%)
● 美 1월 마킷 제조업 PMI 59.1…사상 최고치
● 美 12월 기존주택 판매 0.7%↑…지난해 14년 만에 최대
● 바이든, 식품 지원 확대·부양책 현금 지급 활성화 추진
● 美·中 남중국해서 무력시위···고위급 회동 놓고도 '기싸움'
● 美민주 상원대표 "다음주 월요일 트럼프 탄핵안 상원 상정"
● TD증권 "국채 금리 상승 힘입어 달러도 상승할 것"
● WSJ "가파른 미 국채 수익률 곡선, 강한 회복 가리켜"
● BoA "미국 식당 회복세 보여"
● 골드만 "정크본드 역대급으로 자금 조달"…작년보다 35% 늘어
● UBS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가치저장 수단 아냐"…옐런도 규제 건의
● 미 상원 금융위원회, 옐런 재무장관 승인 의결
● EIA 원유재고 435만 배럴 증가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유럽 초기 제공 물량 예상보다 적을 것'
● 미국 하원, 25일 트럼프 탄핵안 송부…상원 재판은 2주 뒤
● 中채권 지난해 사상 최대 자금 유입…"주요 중앙은행 매입"
● ECB, 정책회의 이후 투자은행과 사적 통화 종료 고려
● 獨 1월 합성 PMI 예비치 50.8…7개월래 최저
● 英 12월 소매판매 전월비 0.3%↑…예상치 1.5%↑
● 한은 "美 재정확대, 소비 위축 완화 전망…글로벌 경제에도 긍정적"
● 현대硏 "올해 불황형 무역흑자 벗어날 것…원화 강세 전망"
● 봄처럼 포근한 날씨 이어져…서울 낮 최고 13도
● "中, 바이든과 회담 추진" 보도에 중국 "어떠한 대화도 요청 안해"
● 中 남중국해 위협에…美 항모로 맞불
● 美 주택 거래량 14년 만에 최대…"올해 집값 더 뛴다"
● 부족한 백신 '쥐어짜기'…美, 병당 투약 횟수 한번 더 늘린다
● EU "제약사들 코로나19 백신 공급 계약 준수하게 만들 것"
● 프랑스, 3차 봉쇄 임박설 대두…백신 접종 100만명 돌파
● 난리난 홍콩…건물 200개 봉쇄해 코로나 전수검사
● "10년내 글로벌 재앙 위험 1위는 전염병"
● 러 전역서 "나발니 석방" 대규모 시위
● 美, 1100만명 불법체류자 구제방안 만든다
● 신흥국으로 200조원 '머니무브'
● "반도체값 20% 올리겠다"…車업계 '울상'
● 퇴임한 트럼프 탄핵 심판…내달 9일께 상원에서 시작
● 스가 지지율 넉달만에 반토막…유권자 80% "긴급사태 늦었다"
2) 기업/산업
● 증설이 '덫' 될라…美 반도체공장 10조 투자 '삼성의 딜레마'
● 삼성전자 美공장 투자 7조 더?
● 삼성 작년 반도체 영업이익 3위…인텔·TSMC에 밀려
● 이재용 재상고 포기할 듯…결단 내릴 '총수 부재' 변수
● 신창재 회장-어피너티 '풋옵션 분쟁' 새 국면
● 쌍용자동차 새주인찾기 난항…협상시한 내 매각합의 불발
● 한라그룹, 카카오 손잡고 제주에 관광단지 만든다
● 작년 항공 교통량, 코로나19로 반 토막…하루 평균 1천151대
● 우리은행 경영전략회의에서 카뱅 대표가 강연한 까닭은
● 현대차, 을지로·송도에 전기차 충전소 짓는다
● SK㈜, 투자전문지주사 '탈바꿈' 선언
● 애플 "한국서 앱 개발자 직접 키우겠다"
● '삼성본사 이전' 언급한 이재용 옥중회견문은 가짜였다
● LG이노텍 '디지털차키'…해킹방지에 정확성은 덤
● 중국발 '플라스틱 전쟁' 시작됐다…비상걸린 국내 화학업계
● LG 방역로봇 '클로이 살균봇', '베스트 오브 CES'서 관심집중
● 해운업계 경쟁 불붙었는데…일본·대만에도 밀리는 한국
● 갤럭시S21 이틀새 20만대…전작 대비 20%↑
● 개와 고양이 구분하는 AI, 초·중·고생이 직접 만든다
● 내 주변 코로나 위험 알려주는 앱 나온다
● "거대기업 MS도 전원재택 성공…재택근무는 이미 예견된 미래"
● [인포스탁 모바일주식신문 '주요뉴스클리핑서비스' 입니다. 매일 2회 휴대폰으로 개별전송해드립니다.]
● 전기차·배터리…ESG 투자 'E'를 주목하자
● 카톡으로 돈 버니 달라진 카카오…'일부 유료화' 본격 시동
● '게임챗' '게임리포트' 출시…네이버, 게임 개발 도구 확장
● '핏빗' 인수한 구글이 온다…600조 헬스시장 '두근두근'
● 지방 공사 입찰제한땐 신규 수주 꿈도 못꾼다
● "백화점 의무휴업, 골목상권 보호와 무관…확대 입법 멈춰달라"
● 국민 60% "마트 의무휴업 폐지를"
● M&A 대출시장 연초부터 뜨겁네…대어잡기에 나선 금융사
● 코로나 백신 CMO 낙수효과 기대 '솔솔'
● 식약처 승인 치료제 '렘데시비르' 유일…셀트리온 등 15개 경쟁
● 국내 바이오기업 기술수출 지난해 10조1500억원
● 글로벌 리콜에도…또 불난 현대차 코나 전기차
● 글로벌 태양광 시장 '절대 강자'…中융기실리콘자재 미래가 밝다
● 믿을 건 실적뿐…빅테크株의 질주, 한번 더?
● GE 658%, 디즈니 195%↑…이익개선 기대株 담아라
● '집콕'에 날개 단 美홈디포·로스…집수리 용품 실적 고공 행진
● 모두가 주식만 바라볼 때, '1500억 뭉칫돈' 이곳으로 향했다
● 파세코 캠핑난로 열풍…주가도 뜨거워질까
● "주식 시장 거품 아니다"…증권업계 반박 나선 까닭
● 바이든·포스트 코로나 시대…'중심축 국가'가 뜬다
● 주식 '올인'은 금물…사회초년생 재테크, 이것부터 챙기자
● 불붙은 대형주 강세장 언제까지 갈까
● 실적발표 앞둔 화장품株'희비'
● 새해 22% 오른 LG…목표주가 15만원까지 뛰었다
● 세 회사로 쪼갠 대림산업…DL·DL이앤씨 25일 재상장
● 상장사 10세 이하 '金수저' 주주 151명
3) 경제/증시/부동산
● 원화 실질가치 20개월來 최고…수출에 '복병'
● 공매도가 '박스피' 주범?…5대 쟁점으로 풀어본 공매도 논란
● "적정가격 발견 효과" vs "외국인·기관 폭리"
● 공매도 기원은 17세기 네덜란드…한국선 1996년 본격화
● 시장서는 안된다는데…與 "공매도 금지 연장해야"
● "공매도 재개되도 대형株 주가 영향 없을 것"
● '소부장 펀드' 올해 7천억 추가 조성
● '코로나 손실보상' 전용보험상품 속도낸다
● 뉴욕증시, 미국 新정부 정책변화…방향성 탐색 기간
● 상하이증시, 中 공업기업 이익 증가세 지속 전망
● 부동산 큰손도 증시로 대이동
● "상가 판 100억으로 삼성전자·테슬라株 샀다"
● 연봉 넘는 고액 신용대출, '원금까지 나눠갚기' 의무화될 듯
● 신용대출 막차 잡으러 새해 '마통' 개설 2배 늘었다
● "투자해볼만" vs "돈세탁 악용"…비트코인 엇갈린 시선
● '억소리' 나는 상속·증여세…5년간 쪼개 낼 수 있다
● 3기 신도시 토지보상 종전보다 10개월 빨라져
● 임대주택 강제 말소되지만…등록해놔서 다행인 까닭
● 지방 광역시, 3월까지 2만3000가구 공급…분양 열기 이어간다
● "세종 따라 오른다"…충청권 아파트 잇단 신고가
● 높아진 청약 당첨 문턱 '무작위 추첨제'로 넘어볼까
● 신혼희망타운 청약도 수도권에만 몰린다
● 송도자이 크리스탈오션 등…전국 2785가구 청약
● 지방도 '똘똘한 한채'…10억이상 아파트거래 3.7배 늘었다
● '집콕 답답해서'…중대형 아파트로 돈 몰렸다
● HUG '분양가통제 무용론' 부상…로또 아파트 등 부작용만 양산
4) 정치/사회/국내 기타
● 한국은행이 돈 찍어 '코로나 보상' 재원 대라는 與
● 與 잠룡들도 野 대표도 앞다퉈 재정확대 압박
● 주요국 모두 법제화 없이…美 '저리 대출'·日 '방역협조금' 지원
● 재산권 무시한 與…"임대인만 손해 안봐, 30% 소급해 깎아줘라"
● 정세균發 채권시장 요동…10년 만기 국고채 금리 年 1.758%, 1년來 최고
● 이익공유제 원조 정운찬마저…"상생3법은 억지정책"
● 당정, 기금마련에 공적자금 동원도 검토
● 기재부 "공공기관 승진심사때 군필자 우대조항 전부 없애라"
● 美 "북한 억제 중대한 관심…새 對北전략 세울 것"
● 북한 쿠웨이트 대사대리 2019년 한국 왔다
● 정세균 "새학기 등교수업 검토하라"
● 박영선·우상호 '일단 포옹'…안철수·나경원·오세훈 "과거 묻지 마세요"
● 백신 부작용 0.2% 불과…가벼운 통증은 정상반응
● 공포가 잠식한 코로나 1년…인류는 '과학'으로 맞섰다
● 면역력이 치사율 갈랐다…확진 80대 5명 중 1명 사망 때, 20대 '0명'
● 오늘 400명대 중후반…3차 대유행 진정세 속 돌발 집단감염 비상
● 종교시설서 또 터졌다…대전 선교사학교 127명 감염
● "확산 막는데 가장 효과적인 건 소모임 줄이기"
● 영유아 사망 0명…아이들은 왜 가볍게 앓고 지나갈까
● 경찰 '이용구 택시기사 폭행영상' 보고도 덮었다
● 사재기 막자…대형마트, 金계란 '1인1판' 구매 제한
● 위안부판결 선긋는 정부 "추가 청구안한다"
● 日, 위안부 판결 시정 요구에…정부 "피해자 상처치유 노력하라"
● 주한 中대사 "中·韓 방역 협력은 국제적 모범 사례"
● 이상직 친척 이스타항공 간부 구속
2. 주식 시세 - 미국 증시 점검
01/24 미 증시 특징: 바이든 부양책 불확실성, 개별 기업 이슈로 혼조 마감.
- 바이든 부양책 의회 통과 불확실성 부각
- EU, 2월 1일 청문회에 아마존, 애플, 페이스북, 알파벳 CEO 참석 요청
- 대형 기술주, 지방은행, 소프트웨어, 생명공학 상승 주도
- 펙트셋, S&P500 4Q 영업이익 yoy -6.8% ¡æ yoy -4.7%
- 코로나 백신 접종 속도 지연 및 중국 코로나 확산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84%
- 인텔 -9.29%, IBM -9.90%, 시게이트 -4.67% 등 실적 발표 기업 부진
- 부킹닷컴 -2.07%, 카니발 -2.51% 매리어트 -2.94% 등 컨텍드 관련 기업 부진
장중 변화
미 증시는 바이든 행정부의 1.9조 달러 규모의 부양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부각되며 하락 출발. 더불어 반도체 관련 종목들의 실적 발표 후 매물 출회되는 경향을 보이자 실적 시즌에 대한 우려가 확산. 그렇지만 4분기 S&P500 영업이익이 지난 주 전년 대비 6.8% 둔화에서 4.7% 둔화로 상향 조정되자 실적 발표 앞둔 대형 기술주의 강세가 뚜렷해지며 낙폭 축소.
(다우 -0.57%, 나스닥 +0.09%, S&P500 -0.30%, 러셀2000 +1.28%)
3. 주식 시세 - 한국 증시 전망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LG전자, 미래 먹거리 로봇 사업 선정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LG전자가 미래 사업 중 하나로 '로봇 사업'을 낙점한 가운데, LG전자는 현지시간 1월21일 개최된 Best of CES 행사에서 비대면 방역로봇 LG 클로이 살균봇을 시연한 것으로 알려짐. 해당 로봇에는 자율주행과 장애물 회피 기술이 적용됐으며 호텔과 병원, 학교 등분리되고 독립된 공간이 많은 건물에서 방역작업을 쉽게 시행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로보스타, 로보티즈, 유진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
화장품 올해 화장품 업체 강한 실적 반등 전망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올해 화장품 업체들이 강한 실적 반등을 보일 것으로 전망. 특히, 전년도 낮은 기저효과와 백신접종 이후 외부 활동 재개 및 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감, 중국의 강한 소비 등에 의해 연초 이후 화장품 업체들의 투자 심리가 빠르게 개선 중이라고 설명. 아울러 핵심 브랜드 업체 중심으로 대중국향 수요 상승이 나타나고 있으며, 밸류체인별 대표업체들 또한 전방 산업 개선에 따른 실적 회복을 보일 것으로 전망.
또한, 내부 구조조정을 착실히 해오며 소비자 또는 고객사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지속한 업체들의 경우, 업황 회복기에 강한 실적 반등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LG생활건강, 애니젠, 아모레퍼시픽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지난해 4분기 수요 회복 및 올해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헬스케어 대표 컨택산업인 덴탈섹터에 대해 2020년 4분기 전세계 치과의 운영 재개 및 셧다운 완화가 진행되며 뚜렷한 수요 회복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 특히, 2020년 하반기부터 코로나 방역이 효과적이었던 국내 및 중국, 대만 등을 필두로 전세계 치과 운영이 재개되고 있고 2,3분기 동안 억눌린 이연 수요 발생으로 인해 4분기 덴탈 관련 수출액 총합은 전년 동분기 수출금액(1.7억 달러)을 초과하는 2.1억달러까지 회복된 상태라고 설명.
아울러 2021년 국내 덴탈섹터의 외형 성장은 중국 덴탈산업 고성장 지속에 따른 수혜와 중국 외 지역의 코로나19 백신 보급 후 나타날 이연 수요가 이끌 것으로 분석. 이에 국내 덴탈업체의 2021년 합산 매출액은 1조 5,509억원(+24.6%, YoY)과 영업이익 2,446억원(+37.2%,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나이벡, 오스템임플란트, 디오 등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4. 주식 시세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01/27 선진뷰티사이언스(신한금융투자/삼성증권)
01/28 씨앤투스성진(미래에셋대우)
01/28 모비릭스(한국투자증권)
01/29 핑거(대신증권)
02/02 솔루엠(미래에셋대우)
02/03 레인보우로보틱스(미래에셋대우/대신증권)
02/03 와이더플래닛(한국투자증권)
02/05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삼성증권)
02/05 아이퀘스트(미래에셋대우)
02/16 피엔에이치테크(한국투자증권)
02/16 나노씨엠에스(키움증권)
02/17 네오이뮨텍(하나금융투자/미래에셋대우)
02/25 유일에너테크(신영증권)
02/25 오로스테크놀로지(키움증권)
02/25 씨이랩(IBK투자증권)
02/26 뷰노(미래에셋대우)
03/05 바이오다인(대신증권)
03/05 라이프시맨틱스(한국투자증권)
03/12 자이언트스텝(한국투자증권)
123123
댓글